일단 카카오 서비스에서 내 어플리케이션 하나를 만들어주세요.
그에 관한 내용은 저번에 작성한 블로그 링크를 걸어둘테니 참고해주세요.
https://kimslab01.tistory.com/44
[Spring] 소셜로그인 연동 | 카카오 로그인 | 카카오 사용자 정보 가져오기 | 카카오 사용자 정보로
https://developers.kakao.com/ Kakao Developers카카오 API를 활용하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해보세요. 카카오 로그인, 메시지 보내기, 친구 API, 인공지능 API 등을 제공합니다.developers.kakao.com카카오 디
kimslab01.tistory.com
저는 이번에
Redirect URI에다가 이런 식으로 값을 넣어주었습니다.
코드를 길게 쭉 적어도 좋지만 깃허브로 보시는 게 과정도 나와 있고 보기도 편할 것 같아
깃허브 링크를 걸어두겠습니다!
https://github.com/kikye04040/KakaoSocialLogin/tree/develop
GitHub - kikye04040/KakaoSocialLogin
Contribute to kikye04040/KakaoSocialLogin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.
github.com
메인 브랜치 말고
develop 브랜치로 들어가시면 과정이 자세하게 나와 있습니다!
code 클론을 통해 따라해보시면서 공부하시는 것도 괜찮지만,
제가 한 과정들을 따라하며 같이 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!!
코드를 다 따라하시고 실행도 문제없이 되신다면
크롬 브라우저에
https://kauth.kakao.com/oauth/authorize?response_type=code&client_id={YOUR_REST_API}&redirect_uri=http://localhost:8080/callback
이 코드를 붙여 넣어주세요!
{YOUR_REST_API}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발급받은 API를 넣어주세요!
실제로 브라우저에 넣어 실행하면
이런 화면이 나옵니다.
로그에는 이렇게 찍히는데요!
팀 프로젝트를 할때에는 JwtFilter를 구현했지만 이 코드에서는 따로 구현하지 않았어요.
아마 그래서 Spring Security와 관련된 패스워드를 저렇게 주는 거 같습니다.
처음 보는 부분이라 지피티에 질문해보니
이런 답변을 주었습니다.
카카오 로그인을 하고 나면
이 화면이 뜨는데, 이때 저런 식으로 id에는 user, pw에 저 값을 넣어주면 됩니다.
그러면 이렇게 토큰 값이 나옵니다!
DB에도 잘 저장된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~~~!!
혹시 하다가 모르는 것이 있으면 제 깃에 있는 지메일로 연락주시면 빠르게 도움 드리니 참고해주세요~~
'Sp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pring] Spring Security 테스트 코드 401 에러 | Spring Security 테스트 코드 401 에러 해결법 (0) | 2024.10.06 |
---|---|
[Spring] Spring Boot에서 JPA QueryDSL 사용 | QueryDSL 사용법 | QueryDSL 의존성 추가 (2) | 2024.10.03 |
[Spring] 컨테이너 및 도커 개념정리 (0) | 2024.09.19 |
[Spring] 소셜로그인 연동 | 카카오 로그인 | 카카오 사용자 정보 가져오기 | 카카오 사용자 정보로 회원가입 구현 (0) | 2024.09.18 |
[Spring] Controller 테스트 코드 작성하기 (0) | 2024.09.13 |